마짱짱의 지식창고

도커 볼륨(Dokcer Volume) 본문

Cloud/Docker

도커 볼륨(Dokcer Volume)

마짱짱 2020. 7. 14. 16:37
반응형

도커 볼륨(Docker Volume)

Bind Mount

초기 도커부터 사용했던방식으로 호스트의 특정 디렉터리와 컨테이너의 디렉터리를 연결하는 방식
쉽게사용하지만 도커에 의해 관리되지 않으므로 기록하지 않으면 관리하기 어렵다.
성능은 뛰어나다, 허나 호스트의 파일시스템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면 추천하지 않는다.
  • 주로 사용하는 사례
  • 호스트와 컨테이너가 /etc/resolv.conf와 같은 설정파일을 공유할 때
  • 호스트와 컨테이너가 개발환경 사이에서 소스코드나 빌드 아티팩트를 공유할 때
  • 호스트의 파일 또는 디렉터리 구조가 컨테이너의 bind Mount와 일치하도록 보장된 경우

[student@docker ~]$ mkdir contents
[student@docker ~]$ echo "hello world" > contents/index.html
- 미리 마운트할 폴더를 준비

 [student@docker ~]$ docker run -d --name web -v '/home/student/contents/index.html:/usr/local/apache2/htdocs/index.html' httpd
- 호스트의 index.html과 이미지안에 있는 index.html 를 마운트

볼륨(Volume)

도커에 의해 관리되는 스토리지
docker 명령으로 사용하고 생성할 수 있고 삭제도 가능하다.
-v 설정으로 볼륨의 이름을 주어야 관리하기 편하다.
  • 주료 사용하는 사례
  • 다수의 실행 중인 컨테이너 사이에 데이터를 공유할 때
  • 컨테이너에서 호스트 구성을 분리할 때
  • 컨테이너 데이터를 원격의 호스트 또는 클라우드 업체에 저장하고 싶을 때
  •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복원할 때

docker volume create vol1
- vol1 볼륨 생성
docker volume ls
- volume 목록보기
docker inspect vol1
- 도커 볼륨이 연결되어있는 호스트 디렉터리위치 확인
docker run -itd --name os4 -v vol1:/tmp/volume centos:latest
- centos:latest 이미지로 os4 컨테이너를 실행하면서 vol1 볼륨을 os4의 /tmp/volume에 연결한다.   
반응형

'Cloud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설치 및 root 아닌 사용자 명령어 사용  (0) 2024.05.08
도커 네트워크(Dokcer Network)  (0) 2020.07.14
docker 명령어  (0) 2020.07.13
Docker 설치  (0) 2020.07.13
Container? Docker?  (1) 2020.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