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짱짱의 지식창고
라우터의 동작방식, 역할 본문
라우터는 3계층에서 동작하는 대표적인 장비로 경로를 지정해주는 장비 입니다.
라우터에 들어오는 패킷의 목적지 IP주소를 확인하고 자신이 가진 경로정보를 이용해 패킷을 최적의 경로로 포워딩합니다.
라우터의 역할
1. 경로지정
- 경로 정보를 모아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고 패킷을 라우터에 들어오면 패킷의 도차지 IP주소를 확인해 경로를 지정하고 패킷을 포워딩합니다.
2. 프로드캐스트 컨트롤
-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정보를 제외하고 경로습득 설정을 하지 않으면 패킷을 포워딩 할 수 없습니다.
3. 프로토콜 변환
- 현재는 이더넷으로 많이 바뀌면서 변환 할 일은 없지만 과거에는(현재일부에도) WAN 과 LAN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달라 각각의 기술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됐습니다.
라우팅의 동작, 테이블
인접한 네트워크를 넘나든다는 의미로 '홉바이홉(Hop-by-Hop)' 라우팅이라 부르고
인전한 라우터를 '넥스트홉(Next Hop)' 이라고 부릅니다.
라우팅 테이블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됩니다.
1. 목적지주소
- 포워딩을 할 때 출발지를 고려하지 않고 목적지 주소와 라우팅테이블을 비교해 어느 경로로 포워딩 할지 결정
2. 넥스트홉 IP주소, 나가는 로컬 인터페이스
3계층 IP헤더에는 TTL(Time To Live) 라는 필드가 있습니다.
패킷이 네트워크에 살아있을 수 있는 시간을 제한합니다.
라우팅 방법
보통 경로정보를 얻는 방법은 많지만 크게 2가지가있습니다.
1. Static Routing(정적라우팅)
- 관리자가 직접 어디로 어떻게 갈건지 지정해줍니다.
- 멀리 떨어져있는 네트워크를 지정할때 주로 사용합니다.
장점 : 라우터 자체의 부담이 적어 속도가 빠르며 안정적이다.
단점 : 네트워크 변화가 많으면 변경하기 어렵다.
2. Dynamic Routing(동적라우팅)
- 라우터간 변경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교환합니다.
장점 : 초기 설정만 해주면 네트워크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단점 : 라우터의 메모리를 많이 차지합니다.
라우팅 프로토콜
AS(Autonomous System)
- 자율시스템이라하며 통신사업자(SK, KT, LG)가 한개 이상의 AS를 운영합니다.
- 한 회사나 기업의 라우터 집단
IGP(Internal Gateway Protocol)
- AS 내부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 RIP, IGRP, EIGRP, OSPF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 AS 간 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 BGP
친구가 우리집으로 놀러오는 방법 = EGP
우리집에서 방으로 가는 방법 = IGP
Distance Vector vs Link State
최적의 path를 결정하는 기준(Metric), Router간 교환 라우팅 정보(Message), Routing Table의 생성, 변경 정보의 전달 방식 등에 따른 분류이다. Dynamic Routing에는 주로 두가지의 방식이 사용되는데, 하나는 Link State 방식이고 또 다른 하나는 Distance Vector 방식이다.
- Link State : Network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Topology, path)를 가짐
- Distance Vector : Network의 distance 값에 대한 정보만 가짐.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네트워크 주소 변환 (0) | 2021.04.20 |
---|---|
4계층 Session 장비 (Loadbalancer, 방화벽) (0) | 2021.04.14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STP, Spanning Tree Protocol) 개념 (0) | 2021.04.06 |
VLAN 개념 (0) | 2021.03.30 |
스위치의 동작방식 3가지 : 플러딩, 어드레스러닝, 포워딩/필터링 (0) | 202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