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Linux (20)
마짱짱의 지식창고
1. 리눅스/ 유닉스 운영체제 3요소와 그 역할 커널 :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제어 (파일시스템 관리, 하드웨어 장치 관리, CPU제어, 메모리 및 프로세스 관리) 쉘 :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프로그램 (터미널) 디렉토리 : 파일을 가지고있거나 또 다른 디렉토리를 가지고 있는 그룹 / 계층적 구조 2. 디렉토리나 파일을 보는 명령어는 ? 현재디렉토리 위치 확인 : pwd 디렉토리 내용확인 ls - 옵션 숨긴파일확인 -a - 파일종류확인 -F - 디렉토리자체확인 -d - 자세한 내용 확인 -ld - 하위 데릭토리 확인 -R 3. 디렉토리 변경 명령어 cd 4. 절대경로와 상대경로를 비교 확실히 암 5. 경로를 축약하는 문자는 무엇이 있나요. ~ 6.파일 내용을 본느 명령어는? - text를 한번에 출력 : ..
* CentOS 7 환경입니다. * HeidiSQL 사용 --------------------------------------------------------------- * 리눅스에 Maria DB 설치 yum install -y mariadb *방화벽해제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service=mysql firewall-cmd --reload * mysql -u root -p ( 엔터눌러서 접속) DB root로 접속 * show databases; 접속가능한 DB 목록보기 * use mysql; sql 접속 * user 안에있는 테이블중 host 192.168.10.1 지우기 delete from user where host='192.168.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iA0j/btqDeU2i4ey/0iYu7zdyD53cVINiAupyHK/img.png)
* CentOS 7 환경입니다. 1. DNS 설치하기 2. DNS 설정 2-1 /etc/named.conf (vim 으로접근) - 보안설정하는 메인 파일입니다. - listen-on port 53 : 53포트로 오는 어떤 것이든 응하겠다. - allow-query : 들어오는 query는 어떤 것이든 응하겠다. 2-2 /etc/named.rfc1912.zone (vim 으로접근) - 만들 Zone 생성 - 오류없는 지 확인 named-checkconf /etc/named.rfc1912.zone 2-3 /var/named - 디렉터리에 DNS zone 파일 생성 - 초보자가 쉽게 구성하기 어려우니 기존에있는 파일 복사해서 사용하기 - dns zone 파일 수정하기 (vi msw.com.zone) - 오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6Dgq/btqDbk1Bkim/gI1ihT0k2z1VWrCyodFK40/img.png)
* CentOS 7 환경입니다. * 하드디스크 10G로 사용했습니다. mount 란? 하드웨어장치를 리눅스에서 사용하기위해 인식시켜주는 명령어 swap 이란? 리눅스에서 물리적 메모리(Ram)의 용량이 가득 차게 될 경우 사용되는 공간 ------------------------------------------------------------------- 1. 다음과 같이 sdb 디스크를 영구 마운트 설정하세요. a. /dev/sdb1(xfs,1G) -------------- /mydata /dev/sdb2(ext3,1G) -------------- /storage /dev/sdb3(ex4, 2G) -------------- /public b. 이미 설정된 swap 은 그대로 두고 swap을 800M 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5n1CI/btqDblGbNP0/QKU1ghbMT6L5WKeu4YNVu1/img.png)
* CentOS 7 환경입니다. 1. pwd : 현재 디렉터리를 알려준다. 2. ls : 디렉터리 내용을 출력 형식 : ls [옵션] [디렉터리(파일)] -a : 숨김 파일을 포함하여 모든파일목록 출력 -d : 디렉터리 자체의 정보 출력 -l : 파일의 상세정보 출력 -F : 파일의 종류를 표시(*:실행파일, /:디렉터리, @:심벌릭링크) -R : 하위 디렉터리의 목록까지 출력 3. 공부하면서 추가 수정